본문 바로가기
오늘

Never Give Up Day(8월 18일) – 실패를 넘어 다시 일어서는 날

by rafaella 2025. 8. 17.

혹시 인생에서 모든 게 무너져 내리는 듯한 순간을 맞이한 적 있으신가요?
끝없이 노력했는데도 결과는 보이지 않고, 실패와 좌절만 남아 자신을 탓했던 시간 말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어떤 사람들은 그 절망의 바닥에서 다시 일어나 세상을 바꾸는 성취를 이뤄냅니다.
그 비밀은 단순한 재능이 아니라 포기하지 않는 힘에 있었습니다.

매년 8월 18일, 전 세계는 바로 이 힘을 기념합니다.
Never Give Up Day(포기하지 않는 날) — 도전과 실패, 그리고 다시 일어서는 용기를 기억하는 특별한 날.
오늘은 우리에게 다시 일어설 이유를 묻는 하루입니다.

Never Give Up Day(8월 18일) – 실패를 넘어 다시 일어서는 날

포기하지 않는 날이란?

Never Give Up Day, 즉 포기하지 않는 날은 우리가 삶에서 맞닥뜨리는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 결코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려는 정신을 기리는 날입니다. 단순히 한 번의 도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와 좌절 이후에도 다시 시작하는 용기,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성장과 회복을 함께 기념합니다.


Never Give Up Day의 유래와 창시자

Never Give Up Day는 벨기에 출신의 기업가이자 동기부여가인 알랭 호로이트(Alain Horoit)가 창시했습니다. 그는 파산과 여러 차례의 좌절을 직접 경험했지만, 끝내 포기하지 않고 다시 일어서는 과정을 세상과 공유하며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2019년,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극복 경험을 토대로 Never Give Up Day를 제안했고, 곧 이 메시지는 SNS와 커뮤니티를 통해 퍼져나갔습니다. 이후 여러 도시에서 공식적으로 8월 18일을 Never Give Up Day로 선포하며, 이 날은 국제적인 기념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그가 전한 메시지는 단순히 의지의 강조가 아니라,실패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점이라는 믿음이었습니다.


실패를 넘어 다시 일어선 사람들의 이야기

역사를 돌아보면 ‘포기하지 않음’은 언제나 위대한 성취의 원동력이었습니다. 실패와 좌절의 순간이 오히려 인생의 전환점이 되었던 인물들의 이야기는 오늘날에도 큰 울림을 줍니다.

  • 토머스 에디슨: 그는 전구 발명에 성공하기까지 수천 번의 시도를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집요한 실험을 실패라 불렀지만, 에디슨은 “나는 실패한 적이 없다. 단지 되지 않는 방법을 찾아낸 것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태도는 실패를 단순한 좌절이 아닌 학습과 발견의 과정으로 바라보게 합니다.
  • 넬슨 만델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차별 정책에 저항하다 27년 동안 감옥에 갇혔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이라면 절망했을 시간이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옥중에서 더 큰 비전을 다졌고, 결국 민주주의와 평화를 이끌어내며 대통령에 올랐습니다. 그의 삶은 끝없는 인내와 정의를 향한 집념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레이 크록(Ray Kroc): 50대 중반까지 그는 평범한 세일즈맨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52세에 맥도날드 형제를 만나 패스트푸드 사업에 뛰어들었고, 특유의 끈기와 비즈니스 감각으로 맥도날드를 세계 최대의 외식 브랜드로 키워냈습니다. 그의 사례는 늦은 나이에도 새로운 시작은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합니다.
  • J.K. 롤링: 《해리 포터》 시리즈는 출판사 12곳에서 거절당했습니다. 싱글맘으로 경제적 어려움까지 겪던 그녀는 좌절할 만했지만, 끝내 펜을 놓지 않았습니다. 결국 출간된 책은 전 세계적으로 수억 부가 팔리며 현대 문학사의 신화를 썼습니다. 이는 절망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집념이 얼마나 큰 결실을 맺는지 보여줍니다.
  • 스티브 잡스: 그는 자신이 세운 애플에서 한때 쫓겨나는 굴욕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좌절하지 않고 넥스트(NeXT)와 픽사(Pixar)를 통해 다시 일어섰습니다. 이후 애플에 복귀해 아이폰을 세상에 내놓으며 인류의 생활 방식을 바꿨습니다. 그의 여정은 실패가 혁신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 베토벤: 청력을 잃는 것은 음악가에게 치명적이지만, 그는 작곡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청각을 잃은 뒤에도 교향곡 9번을 완성하며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악을 남겼습니다. 그의 음악은 육체적 한계를 초월한 창조성의 산물로, 오늘날까지도 깊은 감동을 줍니다.
  • 스티븐 호킹: 21세에 루게릭병(ALS) 진단을 받아 몇 년밖에 살지 못할 것이라는 선고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무려 50년 넘게 연구를 이어갔고, 블랙홀과 우주론에 대한 이론으로 현대 과학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휠체어와 음성장치에 의존하면서도 지성의 날개는 꺾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육체의 제약이 인간 정신을 막을 수 없음을 몸소 증명한 인물입니다.

이처럼 수많은 인물들은 실패와 좌절을 맞닥뜨렸음에도 끝내 포기하지 않고 다시 일어섰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바로 Never Give Up Day의 정신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주는 증거이며, 우리 모두에게 용기와 희망을 줍니다.


스포츠 스타들의 Never Give Up 정신

스포츠는 포기하지 않는 정신이 가장 빛나는 무대입니다.

  • 요기 베라(Yogi Berra):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It ain’t over till it’s over)라는 말로 재도전의 가치를 전했습니다.
  • 마이클 조던: 고등학교 농구팀에서 방출당했지만, 결국 NBA의 전설이 되었고 나는 수없이 실패했다. 그래서 성공할 수 있었다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 세레나 윌리엄스(Serena Williams)
    임신·출산 후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까지 겪었지만, 다시 코트에 복귀해 정상급 활약을 펼쳤습니다. 그녀는 실패는 나를 더 강하게 만들 뿐이라는 태도로 여성 선수들의 롤모델이 되었습니다.
  • 타이거 우즈(Tiger Woods)
    수차례의 부상과 사생활 스캔들로 커리어가 끝났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끝내 2019년 마스터스에서 극적인 우승을 거두며 재기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의지의 상징적인 순간으로 꼽힙니다.
  • 모하메드 알리(Muhammad Ali)
    권투 세계 챔피언이었지만 병역 거부와 정치적 신념으로 3년간 복역하며 선수 생활이 중단되었습니다. 그러나 복귀 후 다시 세계 챔피언 자리에 오르며 ‘위대한 복서’라는 명성을 굳혔습니다. 그의 말,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쏜다는 끝없는 도전의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스포츠는 끊임없는 도전과 실패, 그리고 재도전을 통해 Never Give Up Day의 의미를 가장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끈기와 회복탄력성, 왜 중요한가

끈기와 회복탄력성은 단순한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정신 건강과 직결된 삶의 능력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실패와 스트레스를 성장의 기회로 전환합니다. 오늘날 불확실성이 큰 사회에서, 이는 반드시 길러야 할 생존력입니다.


8월 18일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1. 작은 목표 세우기 – 작은 성공이 모여 큰 힘이 됩니다.
  2. 자기 긍정의 말 건네기나는 다시 일어설 수 있다라는 자기확언은 뇌와 마음에 강력한 에너지를 줍니다.
  3. 주변 사람 응원하기 – 누군가의 도전을 지지하는 한마디는 큰 용기가 됩니다.
  4. 실패 기록하기 – 좌절을 기록하고 그 안에서 배운 점을 정리하면 새로운 출발점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오늘도 다시 일어서는 당신에게

8월 18일 Never Give Up Day는 단순한 기념일이 아닙니다. 이 날은 실패와 좌절이 끝이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 일어서는 용기야라는말로 인생을 바꾸는 원동력임을 알려줍니다.

오늘 이 글을 읽는 당신도 혹시 주저앉고 싶은 순간이 있나요? 그렇다면 이렇게 말해보세요.
나는 포기하지 않는다. 나는 다시 일어설 수 있다
그 한마디가 바로 당신의 내일을 바꾸는 시작이 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