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기억과 책임

by rafaella 2025. 8. 14.

기억에서 행동으로

매년 8월 14일, 우리 곁에 조용히 피어나는 노란 나비를 본 적 있나요? 이 작은 나비는 단순한 장식이 아닙니다. 수십 년 전, 전쟁의 비극 속에서 짓밟힌 소녀들의 삶과 목소리를 대신 전하는 상징입니다.

 

1991년, 용기를 내어 세상 앞에 선 한 할머니의 외침은 국제 사회를 흔들었습니다. 그 침묵을 깬 목소리는 이제 매년 8월 14일이 될 때마다 우리에게 묻습니다. "당신은 이 역사를 기억하고 있나요?"

 

오늘은 그 물음에 우리가 답해야 하는 날입니다. 바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입니다.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기억과 책임
소녀상

 


🌸 기림의 날, 그 시작과 의미

한 할머니의 용기가 만든 변화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는 기자회견을 통해 최초로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이전까지 사회적 금기였던 이 문제가 세상에 알려지는 결정적인 순간이었습니다. 그 용기 있는 증언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고, 피해자들의 정의를 위한 투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국가기념일로의 여정

2017년, 대한민국 정부는 8월 14일을 공식 국가기념일로 지정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지정에 관한 법률」에 의해 제정된 이 날은 단순한 추모를 넘어,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과 역사적 진실 알리기, 그리고 재발 방지를 다짐하는 법적 토대가 되었습니다.


📅 기억해야 할 역사의 흔적들

1930~1945년 일본군 위안소 설치와 피해자 강제 동원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 첫 공개 증언
1992년 일본 정부 공식 사과 요구, 수요시위 시작
2011년 수요시위 1,000회 맞아 평화비(소녀상) 건립
2017년 8월 14일, 국가기념일로 공식 지정
현재 국내외 30여 개국에서 기림 행사 진행


🤝 우리가 함께할 수 있는 일들

기림의 날은 단순한 추모를 넘어, 행동하는 기억을 요구합니다. 작은 관심도 큰 변화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일상 속 연대

  • 노란 나비 달기: 옷이나 가방에 노란 나비 배지를 달아 피해자들을 기억하는 마음을 표현해 보세요
  • SNS 참여: #기림의날 #8월14일 #RememberComfortWomen 해시태그로 역사적 사실을 알리는 데 동참할 수 있습니다
  • 기념식 참석: 지역별로 열리는 기림 행사에 참여해 보세요

깊이 있는 학습과 나눔

  • 역사관 방문: 서울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 대구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에서 올바른 역사를 배울 수 있습니다
  • 교육 자료 활용: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관련 서적, 다큐멘터리를 통해 역사 교육을 진행해 보세요
  • 기부와 후원: 피해자 지원 단체에 후원하여 그들의 삶과 인권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 기억은 힘이 되어 미래를 만듭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시 성폭력이라는 인류 보편의 인권 문제입니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 세대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입니다.

이 역사를 기억하고 알리는 것은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막는 일이며, 전쟁 없는 세상, 여성과 아동이 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 오늘, 우리의 기록이 내일의 평화가 됩니다

8월 14일, 잠시 걸음을 멈추고 피해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세요. SNS 한 줄, 노란나비 하나, 전시회 한 번 관람이 누군가에게는 큰 울림이 될 수 있습니다.

역사는 기록할 때 비로소 살아남습니다. 우리의 작은 관심과 행동이 모여 역사를 기록하고, 그 기록된 역사가 평화로운 미래를 만드는 힘이 됩니다.

기림의 날은 단순한 추모의 날이 아니라 인권·평화·정의 실현을 위한 행동의 날입니다. 오늘, 당신도 이 역사의 기록자가 되어주세요.